경제학 이론의 예시
지난번 4가지 개념인 희소성, 수요와 공급, 비용 및 이익, 인센티브 이 4가지의 개념을 경제적인 부분이 아닌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상황에 접목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4가지 개념을 예시를 통해 이해하기 위함이 목적입니다.
부동산 비유
요즘 한국에서는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부동산을 통해서 위의 4가지 개념을 적용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부동산 아파트는 한정적입니다. 특히 서울이나 수도권은 아파트가 많이 한정적입니다. 아파트에서 실제 살아야 할 사람들은 많은데 그만큼 아파트 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울 아파트는 희소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요와 공급과도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현재 부동산의 가격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오르는 와중에 수요가 많았습니다. 아쉽게도 공급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면서 가격은 더욱더 상승하게 됐습니다. 아파트 같은 경우 인간에게서 가장 중요한 의식주 중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내가 필요 없다고 필요 없어지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수요를 만족시켜줘야 합니다. 희소성이 크고 수요만 큰 상태이기 때문에 시장은 과열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수요가 폭증하게 되면 공급이 자연스럽게 늘어납니다. 그러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다만, 수도권 부동산의 경우 공급이 늘어나야 할 타이밍이 지났지만 바로 공급이 늘지 않습니다. 이렇게 폭등한 경우 급격하게 하락할 가능성은 작습니다. 다만, 공급이 많아진다면 수요와 공급의 이론에 따르면 지속해서 하락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집을 사줄 사람이 없다고 하시는 분도 계실 텐데요. 집이 없는 사람은 아직 많고 아무리 출생률이 낮아도 지속해서 수요는 생깁니다. 공급이 지금처럼 없다고 봐도 되는 시점에서는 큰 하락이 당장 발생할 이유는 해당 이론들에 따르면 없습니다.
비용 및 이익으로 보면 인풋 대비 아웃풋이 어떠하냐를 봐야 합니다. 부동산을 지을 때 드는 비용과 부동산을 분양해서 벌어드리는 아웃풋이 어떠할까요? 기존에 분양가상한제를 하면서 분양가를 낮춰서 로또 분양이라는 말도 나왔습니다. 공급이 많은 상태에서 이렇게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었다면 아파트 가격이 낮아졌을 겁니다. 다만, 공급은 거의 없고 어쩌다 아주 소량인 경우에는 오히려 인풋 대비 아웃풋이 떨어져 더욱더 공급을 안 하게 되겠죠. 다만, 현재 공시지가 상승으로 분양가상한제 자체의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따라서 분양가가 어느 정도 시장가를 반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시점으로 인풋 대비 아웃풋이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합니다. 건설사들도 아파트를 지어서 분양하면 드는 비용 대비 얻는 수익이 크기 때문에 수도권에 아파트를 더 많이 지으려고 하겠지요. 그러면 사실 공급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수요가 줄고 가격은 하락하겠습니다. 다만, 이렇게 이론적으로 되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그렇게 긴 시간 동안 다른 문제로 인해서 다르게 상황이 변할 수 도 있어서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마지막으로 인센티브 개념을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을 사면 급격하게 가격상승이 최근 이루어졌다는 자체가 인센티브이고 성과 개념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무조건 부동산을 사려고 합니다. 다만, 다주택자 세금 등이 있지만 1주택자는 세금으로 막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부동산을 사도록 인센티브를 준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금은 따라서 부동산 자체에 인센티브가 있지만 다음에 분위기가 바뀐다면 그에 대한 효과는 줄어 들것입니다.
결론
결론 적으로는 현재 희소성, 비용보다 큰 이익, 인센티브, 공급 대비 큰 수요 이 모든 것이 다 부동산 가격을 오르게 만들고 있습니다. 다만 과도한 공급으로 시작하여 희소성이 떨어지고 수요대비 공급이 더 커지고 한다면 인센티브 자체가 줄어들 것이고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입니다. 어떤 자산이든 지속해서 상승만 하는 자산은 없습니다. 하락이 있고 상승을 하고를 반복합니다. 당장은 하락의 이유가 보이지 않지만 언젠가는 하락세로 돌아설 것입니다. 다만, 우려스러운 것은 현재 재화 공급이 너무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이것 또한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지금 돈의 공급이 너무 많습니다. 화폐의 가치가 떨어져서 부동산 가격 자체가 하락을 안 할 수도 있다고도 생각이 듭니다. 문제는 정부가 어떻게 아파트 공급을 늘리고 화폐의 공급을 주려 가치 보존 인플레이션과 얼마나 싸워주냐가 중요합니다. 지금은 과도하게 공급을 늘릴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내용은 부동산과 연관 지어 지난번 4가지 개념을 이용하여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렸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일 뿐 부동산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lation 인플레이션 (0) | 2022.01.02 |
---|---|
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 (0) | 2022.01.01 |
경제학의 이론적인 개념 (0) | 2021.12.28 |
거시 경제학 (macroeconomics) 후편 [분파] (0) | 2021.12.27 |
거시 경제학 전편 (Macroeconomics) (0) | 2021.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