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미국 주식 세금

by NADONG 2022. 1. 9.
반응형

미국 주식 세금

미국 주식 세금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이다.

 

환율

1달러당 원화의 가치는 지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한화를 통해 미국 주식을 사기 위해서는 달러로 환전을 해야 한다. 달러의 가치가 바뀌기 때문에 환전 자체만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다. 환전을 잘하면 수익률을 더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1달러를 1,050원에 사서 그 1달러를 1,200원에 팔면 150원 이득이다. 환전 자체로 소득을 얻은 부분에 대해서는 세금이 없다. 달러를 교환해서 주식을 샀으면 다른 얘기지만 달러로 환전 한 후 그 달러를 보유하다가 다시 팔았을 때는 세금이 없다.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간단히 말해서 내가 주식을 산 시점대비 팔았을 때 주식의 가격이 올라서 수익이 생겼을 때 내는 세금이다. 당연히 내가 수익이 생겨야 내는 세금이기 때문에 주식이 마이너스인데 손절한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세금은 없다.

수익의 250만 원까지는 비과세 구간이며, 양도차익의 22%를 과세한다. 한 해 수익 실현 금액이 250만 원이 넘어가는 경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기에 직접, 신고 납부 해야 한다. 요즘은 증권사에 대행해 주는 서비스도 있다. 한해가 기준이다.

예를 들면, 2021.01.01~2021.12.31까지 수익이 1000만 원이라면, 다음 해 2022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며, 1000 만원 중 250만 원은 면제돼도 나머지 750만 원의 22%가 세금으로 된다.

750*0.22=165만 원

환율이 포함돼도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다.

세금은 주식 살 때 (주식가격 * 주식 개수 * 환율) - 주식 팔 때 (주식가격 * 주식 개수 * 환율) - 250만 원 *0.22이다.

 

배당소득세

받는 배당금에 대해서 납부해야하는 세금.

일반적으로 이미 배당금이 입금이 될 때 세금을 제외하고 입금이 된다. 15% 세금을 떼고 통장에 입금 된다. 다만, 주의할 점은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 원 이상일 경우 종합소득세에 포함돼서 따로 신고해야 합니다. 다른 소득이 있다면 배당소득이 2000만 원 이상일 경우 세금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절세방법

양도소득세는 연초부터 연말까지 1년이 기준이기 때문에 연말에 수익이 많으면 손실 난 주식들을 같이 팔아서 소득을 줄이면 절세가 가능하다. 주식의 가치를 보고 샀기 때문에 다시 1월에 같은 양의 주식을 사도 된다. 예를 들어, 올해 수익으로 500만 원이 있었는데 보유 주식 중에 -250만 원 손실 난 종목이 있었으면 팔아서 수익을 250만 원 비과세 구간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다시 1월이 됐을 때 250만 원으로 다시 그 종목을 사면 된다. 수익은 줄이면서 다시 낮은 평당가로 주식을 구매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유용하다.

댓글